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커터를 통해서 많은 삼진을 잡아낸 더스틴 메이 (Dustin May)

LA Dodgers/Dodgers News

by Dodgers 2021. 4. 7. 00:20

본문

반응형

2020년에 LA 다저스의 선발투수로 56.0이닝을 던지면서 2.57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2021년 스프링 캠프에서 선발자리를 보장 받지 못하고 경쟁을 해야 했던 더스틴 메이가 오늘 LA 다저스의 5선발투수로 오클랜드 어슬레틱스를 상대로 등판해서 6.0이닝, 무실점 피칭을 하면서 승리투수가 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시즌 개막전 선발투수였던 클레이튼 커쇼는 부진한 피칭을 하면서 패전투수가 되었지만 이후에 등판한 트레버 바우어, 워커 뷸러, 훌리오 유리아스, 더스틴 메이는 모두 선발투수로 솔리드한 피칭을 하면서 LA 다저스에게 4연승을 선물하였습니다. 1~5차전이 진행이 되면서 선발투수의 피칭 결과가 더 좋아지고 있습니다. (클레이튼 커쇼의 굴욕이라고 해야 하는것인지...다저스 선발진의 위엄이라고 말을 해야 하는것인지..)

 

1회에 조금 불안함을 노출하기도 했던 더스틴 메이는 타자들이 2회초에 4점을 만들어준 이후에 매우 편안한 피칭을 하였습니다. 6.0이닝을 던지면서 2개의 안타와 2개의 볼넷만을 허용하면서 8개의 삼진을 잡아냈습니다. 2020년에 더스틴 메이가 인상적인 구위를 보여주었음에도 불구하고 헛스윙 비율이 낮고 탈삼진이 부족해서 저평가를 받는 경우가 종종 있었는데..오늘 경기에서는 이닝당 한개가 넘는 8개의 삼진을 잡아내면서 삼진이 지적에 답을 하였습니다. 모두 6.0이닝을 던지면서 85개의 공을 던졌는데..그중 57개의 공이 스트라이크였습니다. 작년에 비해서 스트라이크 비율이 조금 낮아진 느낌입니다. 스트라이크존에 많은 공을 던지는 것도 중요하지만 변화구를 통해서 타자들의 타이밍을 빼앗는 피칭을 익히면서 적절한 스트라이크 비율로 공을 던지기 시작한 느낌입니다. 물론 여전히 인상적인 땅볼 생산 능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오프시즌에 투구 매커니즘과 투구판을 밟는 위치에 변화를 주면서 시범경기에서는 조금 구속이 하락한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였는데..오늘 경기에서 더스틴 메이는 99마일이상의 공을 9개 던진 것을 비롯해서 평균 97.7마일의 싱커와 98.4마일의 포심을 던지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구속 자체는 2020년과 동일합니다. 아마도 여름이 날씨가 조금 더 더워지면 더 좋은 구속을 보여줄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2020년 시즌중반부터 탈삼진을 늘리기 위해서 커터의 구사 비율으 낮추는 대신에 80마일중반의 슬러브의 구사 비율을 높이는 선택을 하였던 더스틴 메이인데...오늘 경기에서는 2020년 초반처럼 슬러브보다 커터를 더 많인 던지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리고 그것이 적중했는지..커터를 통해서 많은 헛스윙을 이끌어내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18개의 커터중에서 12개의 공이 스윙을 유도하였습니다. 그리고 헛스윙이 9개였습니다. 오늘 경기에서 미치 모어랜드와 맷 올슨을 상대로 던진 커터의 위력은 어마어마 하더군요.)

 

대부분의 구단들이 최근에 더스틴 메이가 슬러브를 자주 던지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오늘 더스틴 메이가 윌 스미스와 논의 후에 커터의 활용을 높인 것으로 보이는데...두선수가 투수와 포수로 함께 등판한 경기가 많기 때문인지 궁합이 잘 맞는 느낌입니다. 어제 오늘 훌리오 유리아스와 더스틴 메이가 윌 스미스와 호흡을 맞추면서 좋은 피칭 결과를 만들어냈는데..확실히 높은쪽 스트라이크존을 공략할수 있는 구속과 움직임을 보여주는 직구를 던질수 있는 투수들은 윌 스미스와 좋은 결과물을 만들어내더군요. 더스틴 메이가 선발투수로 등판하면 항상 5~6회에 조금 고전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는데..오늘 경기에서는 타자들이 점수를 많이 만들어준 덕분인지 5~6회를 무난하게 넘어가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메이저리그에서 1~2선발투수가 될 수 있는 스터프를 갖고 있는 선수인 더스틴 메이가 오늘처럼 스트라이크존 구석구석을 공략하는 피칭을 할수 있다면 2021년 시즌이 끝나는 시점에는 5선발 투수가 아닌 1~2선발 투수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을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