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대학에서 1~2학년을 불펜투수로 공을 던진 카슨 렉스데일은 2018년 10월달에 토미 존 수술을 받으면서 3학년은 공을 던질수 없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2020년에는 대학 시즌이 단축이 되면서 단 4경기에 선발투수로 뛰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플로리다 대학을 상대로 4.0이닝을 던지면서 10개의 삼진을 잡아내는 모습을 보여주었기 때문에 드래프트에서 필라델피아의 4라운드 지명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이후에 교육리그에서 훈련을 한 카슨 렉스데일은 샘 쿤로드의 트래이드에 포함이 되어서 샌프란시스코로 트래이드가 되었고 2021년에 샌프란시스코의 유니폼을 입고 프로에 데뷔를 하였다고 합니다. 직구: 55, 커브볼: 60, 커터: 50, 체인지업: 40, 컨트롤: 45, 선수가치: 40 가장 좋은 구종은 커브볼로 6..
최근 몇년간 메이저리그 최악의 불펜진 때문에 고전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던 필라델피아 필리스가 2020~2021년 오프시즌에 불펜투수 보강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FA 시장에서 큰 돈을 주고 불펜투수를 영입하는 것보다는 로또를 영입해서 불펜을 보강하는 것을 시도할 생각인것 같습니다. 불펜투수들이 혹사를 당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장기계약의 위험성을 자주 거론이 되고 있는 것을 고려하면 이해할수 있는 부분이지만..현재의 필라델피아 필리스의 불펜진이 이런식으로 해결이 될 수 있는 수준인지는 모르겠습니다. LA 다저스, 탬파베이 레이스와의 3각 트래이드를 통해서 좌완 싱커볼 투수인 호세 알바라도를 영입하는 선택을 하였던 샘 쿤로드는 오늘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와의 트래이드를 통해서 강속구 우완투수..
사우스 플로리다 대학교 1~2학년때는 많은 삼진을 잡아낸 만큼 많은 볼넷을 허용하는 모습을 불펜에서 보여주었다고 합니다. 2019년 시즌을 토미 존 수술로 던지지 못한 카슨 랙스데일은 2020년에 선발투수로 돌아왔다고 합니다. 그리고 4번의 선발등판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면서 2020년 드래프트에서 필라델피아 필리스의 4라운드 지명을 받았고 슬롯머니보다 적은 22만 5000달러의 계약금을 받고 프로생활을 시작하였다고 합니다. 직구: 55, 커브: 55, 체인지업: 40, 컨트롤: 50, 선수가치: 40 6피트 8인치의 큰 신장을 갖고 있는 선수로 좋은 각도의 공을 던지고 있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91~95마일의 직구를 던지고 있는데 미래에 구속은 더 좋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좋을때 플러스..
필라델피아 필리스가 안정적인 픽을 지명할 것이라는 루머가 있었지만 그런 지명을 실제 드래프트에서 하지는 않았다고 합니다. 1.15—RHP 믹 아벨 (Mick Abel (11)) https://ladodgers.tistory.com/28468 [BA] 믹 아벨 (Mick Abel)의 스카우팅 리포트 오레곤주의 고교생 우완투수인 믹 아벨은 인상적인 스터프와 피칭감각, 그리고 성장 가능성을 모두 보여주고 있는 선수로 지난 여름 이벤트 경기에서 최고 97마일의 직구를 던지는 모습을 보여� ladodgers.tistory.com 3.87—SS 케이시 마틴 (Casey Martin (38)) https://ladodgers.tistory.com/28408 [BA] 케이시 마틴 (Casey Martin)의 스카우팅 ..
사우스 플로리다 대학의 우완투수인 카슨 랙스데일은 2020년 드래프트 대상자중에서는 가장 큰 신장을 갖고 있는 선수중에 한명으로 6피트 8인치, 225파운드의 모믈 갖고 있다고 합니다. 1학년과 2학년때는 불펜투수로 31.1이닝을 던지는 모습을 보여주었던 카슨 랙스데일은 토미 존 수술을 받으면서 2019년에는 공을 던지지 못했지만 2020년에는 인상적인 모습을 보여주면서 메이저리그 구단들의 관심을 초반에 받았다고 합니다. (1998년 5월 25일생으로 상대적으로 나이가 많은 선수입니다.) 선발투수로 19.0이닝을 던지면서 2.84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하였는데 7개의 볼넷을 허용하는 동안에 37개의 삼진을 잡아내는 모습을 보여주었다고 합니다. 과거에는 스트라이크를 던지는데 어려움을 보여주는 투수였지만 202..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