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2020년 드래프트에서 샌프란시스코의 지명을 받은 노스 캐롤라이나 주립대학의 선수로 첫 2년간 불펜투수로 11승 1패를 기록하였습니다. 그리고 2020년은 팀의 선발투수로 뛰는 선택을 하였고 4번의 선발등판에서 단 4실점만을 기록하였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2라운드 추가픽 지명을 받았으며 119만 7500달러의 돈을 받고 프로생활을 시작할수 있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2020년 교육리그에서 처음으로 프로를 상대로 공을 던졌습니다. 직구: 50, 커브볼: 60, 체인지업: 55, 컨트롤: 45, 선수가치: 45 선발투수로 이동하면서 구종에 변화를 준 선수로 불펜투수로는 90~95마일의 직구와 각도 큰 커브볼을 던졌다고 합니다. 하지만 2020년에 선발투수로 공을 던질때는 87~93마일의 직구와 평균~플러스 등..
1~2학년때는 대학의 불펜투수로 뛰었던 닉 스위니는 3학년때 선발투수로 변신을 하였다고 합니다. COVID-19로 인해서 4번의 선발 등판을 한 이후에 2020년 시즌을 마감을 하였지만 좋은 모습을 보여준 덕분에 전체 67번픽 지명을 받을 수 있었고 119만 7500달러에 계약을 맺었다고 합니다. (대학에서 한경기 15개의 삼진을 잡아내는 피칭을 보여주기도 하였다고 합니다.) 최고 94마일을 던질수 있는 투수지만 교육리그에서 일반적으로 89~91마일의 공을 던졌다고 합니다. 아마도 몸에 근력을 개선할수 있다면 구속이 조금 더 좋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직구와 함께 커브볼과 체인지업을 던지고 있는데 미래에 어떤 구종이 더 좋은 구종이 될지에 대한 의견은 엇갈리고 있다고 합니다.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는..
대학에서 2년간 불펜투수로 11승 1패를 기록한 닉 스위니는 3학년때 선발투수로 이동하는 선택을 하였습니다. 그리고 4번의 등판에서 모두 승리투수가 되었다고 합니다. 덕분에 2020년 드래프트에서 샌프란시사코 자이언츠의 2라운드 지명을 받을 수 있었고 119만 7500달러에 계약을 맺었다고 합니다. 직구: 50, 커브: 60, 체인지업: 55, 컨트롤: 45, 선수가치: 45 봄에 선발투수로 뛰면서 주로 87~93마일의 직구를 던지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커브볼은 평균~플러스등급으로 평가가 엇갈리는 모습을 보여주었다고 합니다. 과거에 불펜투수로 뛸때는 90마일 초반의 직구를 던졌으며 각도 큰 12-6시 커브볼을 던졌다고 합니다. 체인지업은 3학년때 많이 사용하면서 크게 발전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종종..
2018년에 포수인 조이 바트를 1라운드픽으로 지명한 샌프란시스코는 2020년 드래프트에서도 대졸 포수인 패트릭 베일리를 지명하는 선택을 하였습니다. 패트릭 베일리는 조이 바트보다 좋은 수비력을 갖고 있다고 평가받는 선수지만 방망이는 조이 바트와 비교할수 있는 수준으로 평가받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현재 자이언츠의 야구 운영사장인 파르한 자이디가 조이 바트를 지명하지는 않았지만 멀지 않은 시점에 자이언츠는 두명의 포수의 출전시간에 대한 논의를 시작하게 될 것 같다고 합니다. 1.13—C 패트릭 베일리 (Patrick Bailey (14)) https://ladodgers.tistory.com/28479 [BA] 패트릭 베일리 (Patrick Bailey)의 스카우팅 리포트 2017년에 고교를 졸업하던 시점..
노스 캐롤라이나 대학의 좌완투수인 닉 스위니는 1학년과 2학년때는 불펜투수로 뛰면서 많은 삼진을 잡아내는 모습을 보여준 선수지만 제구 불안을 겪는 모습을 보여주었다고 합니다. (1학년과 2학년때 9이닝당 5개가 넘는 볼넷을 허용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하지만 2020년에는 선발투수로 변신하는 선택을 하였고 컨트롤이 크게 개선이 되면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2020년에 닉 스위니는 28.0이닝을 던지면서 1.29의 평균자책점과 9이닝당 1.9개의 볼넷을 허용하였습니다. 2020년에도 많은 삼진을 잡아내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선수로 한경기 15개의 삼진을 기록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였습니다. 특출난 구위를 갖고 있는 선수는 아니지만 3가지 구종을 잘 섞어 던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선수..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