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1994년생인 잭 에플린은 6피트 6인치, 220파운드의 몸을 갖고 있는 선수로 2012년 드래프트에서 샌디에고 파드리스의 1라운드 추가픽 지명을 받고 프로생활을 시작한 우완 선발투수입니다. 지미 롤린스를 LA 다저스에게 넘겨주고 받은 투수 유망주로 2012년 드래프트에서 120만달러의 계약금을 받았습니다. 2015년 시즌은 AA팀에서 뛰었으며 여름에는 미국 대표팀의 일원으로 뛰었다고 합니다. 필라델피아 필리스는 삼진을 더 많이 잡을 수 있도록 교육하고 있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90마일 초중반의 직구를 던지고 있는 투수로 평균이상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직구라고 합니다. 그리고 80마일 초반의 슬라이더를 던지고 있는데 평균이상으로 평가를 받고 있다고 합니다. 체인지업과 커터는 평균적인 구종으로 평가를 받고..
필라델피아 필리스의 우완 선발투수인 잭 에플린은 2012년 드래프트에서 샌디에고 파드리스의 1라운드 추가픽 지명을 받고 프로생활을 시작한 선수로 좋은 신체조건과 인상적인 체인지업을 던지면서 미래에 3~4선발투수가 될 수 있을 것이라는 평가를 받았던 선수입니다. 피칭 감각이 좋기 때문에 빠르게 마이너리그를 통과하는 모습을 보여준 잭 에플린은 2014년 시즌이 끝난 이후에 맷 켐프의 트래이드에 포함이 되어서 다저스로 이적하게 되었고 1일 후에 지미 롤린스의 트래이드에 포함이 되어서 필라델피아 필리스에 합류한 선수입니다. (Traded by Padres with C Yasmani Grandal and RHP Joe Wieland to Dodgers for OF Matt Kemp, C Tim Federowicz..
이미 과거형이기 때문에 의미가 있을지 모르겠지만....추후에 추가적인 트래이드 모멤텀이 생길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포스팅을 합니다. 현재 애리조나 디백스가 1루수인 폴 골드슈미트의 트래이드를 시도하고 있는 상황인데....필라델피아 필리스와도 폴 골드슈미트의 트래이드를 논의하였다고 합니다. 공격력 강화를 원했던 필라델피아 필리스 입장에서는 폴 골드슈미트는 입맛에 맞는 선수였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선발투수인 잭 에플린 (Zach Eflin)을 포함해서 몇몇 젊은 선수들을 애리조나 디백스에게 제시를 하였다고 합니다. 폴 골드슈미트에 대해서 알아보자: http://ladodgers.tistory.com/15822 하지만 필라델피아 필리스가 폴 골드슈미트와 포지션이 겹치는 카를로스 산타나 (Carlos Santa..
마이너리그와 메이저리그에서 꾸준하게 선발투수로 뛰고 있는 잭 에플린은 한때 샌디에고 파드레즈의 유망주였지만 맷 켐프의 트래이드, 지미 롤린스의 트래이드에 포함이 되어서 필라델피아 필리스로 이적한 선수입니다. 솔리드한 컨트롤을 보여주고 있지만 확실한 구종이 없기 때문인지 아직까지 메이저리그에서 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올해도 AAA팀에서 시즌을 시작하였지만 기존 선발투수인 벤 라이블리가 등부상을 당하면서 메이저리그의 부름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잭 에플린의 커리어 성적: https://www.baseballamerica.com/players/2638 플로리다주 출신의 우완투수인 잭 에플린은 고교시절부터 솔리드한 피칭 감각을 보여주었던 선수로 2012년 드래프트에서 상위픽 지명을 받을 선수로 평가를 받..
존 시켈스가 필라델피아 필리스의 유망주 랭킹을 올렸는데...잠시 다저스의 밥을 먹었던 선수가 4명이나 포함이 되어 있네요. 2013년부터 왜 필라델피아와의 트래이드에서 손해를 계속해서 보고 있다고 생각하는 편인데....유망주 리포트를 보니...또 짜증이...... 6) Zach Eflin, RHP, Grade B/Borderline B- 20살짜리 투수로 A+리그에서 128이닝을 던져서 3.80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고 합니다. 지미 롤린스 트래이드를 통해서 영입한 선수로 미래에 3선발이 될 수 있는 포텐셜을 갖고 있다고 합니다. 직구는 90마일 초반에서 형성이 되고 있으며 체인지업과 커브를 통해서 땅볼을 만들어 내고 있다고 합니다. 피안타가 많다는 점을 고려하면 미래에 에이스가 아닌 워크호스 타입의 선..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