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LA 다저스의 유틸리티 선수인 크리스 테일러 (Chris Taylor)에 대해서 알아보자

Swing and a Miss/Players Report

by Dodgers 2018. 10. 23. 21:19

본문

반응형

 

키케 에르난데스와 함께 LA 다저스의 대표적인 유틸리티 선수인 크리스 테일리는 2017년에 놀라온 성적을 보여주면서 다저스가 메이저리그에서 최다승을 거둔 팀이 되는데 큰 기여를 한 선수지만 2018년에는 삼진이 급격하게 많아지면서 상대적으로 고전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물론 0.254/0.331/0.444의 성적을 기록하면서 여전히 준수한 성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9월달에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고 내셔널리그 챔피언쉽 시리즈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준 것을 고려하면 월드시리즈에서 중용이 될 수 있을것 같은데...보스턴의 좌투수들을 상대로 시원한 타구를 몇개 만들어 주었으면 좋겠네요.

 

 

 

크리스 테일러의 유망주시절에 대해서 알아보자:
http://ladodgers.tistory.com/17014

 

매니 마차도가 LA다저스에 합류한 후반기에는 주전보다 벤치에서 시작한 경기가 많았을 정도로 많은 출전 기회를 얻지 못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후반기에 방망이가 조금 식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다행이라고 한다면 9월달에 성적이크게 개선이 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는 점인데 9월달에 크리스 테일러는 0.345/0.433/0.586의 성적을 기록하였습니다. 홈경기와 원정경기의 타율차이는 거의 없지만 홈경기에서 휠씬 더 많은 장타를 기록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우타자로 일반적으로 좌투수를 상대로 더 많이 출전이 되는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2018년에 보여준 성적은 우투수에게 더 강점이 있었습니다. 우투수에게 0.786의 OPS를 기록한 반면에 좌투수에게는 0.756의 OPS를 기록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성적만 좋다면 좌투수/우투수를 가리지 않고 투입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2018년 포스트시즌에 크리스 테일러는 상당히 좋은 타격 페이스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25타석에서 9개의 안타를 기록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월드시리즈에서 적극적으로 활용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9안타중에서 3개의 장타도 포함이 되어 있습니다.) LA 다저스에 합류한 이후에는 다양한 포지션을 소화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선수로 2018년에도 전반기에는 코리 시거를 대신해서 주전 유격수로 많은 출전을 하였지만 매니 마차도가 합류한 이후에는 중견수, 2루수, 좌익수로 출전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2018년에 유격수로 많은 경기에 출전하였기 때문인지 지난해와 비교해서 수비 수치는 많이 하락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지난해에는 중견수로 좋은 수비를 보여주었습니다.) 유격수/2루수/중견수로는 평균이하의 수비를 보여주었지만 좌익수로 출전해서는 평균이상의 수비를 보여주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월드시리즈에서도 작 피더슨과 플래툰으로 좌익수로 출전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평균이상의 스피드를 바탕으로 공격적인 주루 플레이를 보여주고 있는 선수로 한루를 더 진루하는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보스턴의 그린 몬스터를 맞고 타구 방향이 조금만 틀어진다면 3루까지 뛸 수 있는 스피드는 갖고 있는 선수입니다. 2014년 7월 24일날 메이저리그에 데뷔한 선수로 2017년까지 메이저리그 서비스 타임이 2년 31일인 선수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2018년 연봉으로는 57만 5000달러의 적은 돈을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2018년 시즌이 끝나면 연봉 조정신청 자격을 얻게 되고 적지 않은 연봉을 받을 수 있을것 같습니다. (저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시점은 이제 끝났습니다.) 현재의 서비스 타임을 고려하면 2021년 시즌이 끝난 이후에 연봉 조정신청 자격을 갖게 되는데 1990년생이라는 것을 고려하면 만 32살에 자유계약선수가 됩니다. 최근에 다양한 포지션을 소화하는 선수들에 대한 수요가 많은 편이기 때문에 2021년까지 솔리드한 성적을 유지할 수 있다면 충분히 3~4년짜리 계약을 이끌어낼 수 있을것 같습니다. 일단 2018년에 문제가 되었던 삼진 문제를 극복하는 모습을 19년부터는 보여줘야 할것 같습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